2007-09-05

스몰 파켓 정리


이제 스몰 파켓이 끝난다. 여러가지 문제도 있었고 가능성도 있었다. 여하튼 이런저런 생각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고 이런 과정 아래에서만 다음 행사에 대한 윤곽이 드러날 것 같다. 저번 토크에서 나왔던 이야기를 중심으로 나의 생각을 적어본다.

토크를 진행하면서 이 행사의 홍보 (홍보에 대한 문제는 행사장 위치에 대한 고민과 연관되었는데) 문제가 떠올랐다. 홍보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였지만 몇몇 게시판 정도에 글을 올린 것과 독자적인 블로그를 운영하고 매뉴얼과 미디어버스 홈페이지를 통해 하는 홍보에 그쳤다. 또한 이것과 연관되어서 지역 문제도 떠올랐다. 물론 지금 서울의 언더그라운드 신은 홍대 주변에 형성되고 있다. 이건 10년 전부터 항상 그러했는데 대부분의 문화 기획자, 문화 관련 시설들이 홍대에 집약적으로 모여있고 공연이나 전시 역시 그렇다. 물론 스몰 파켓 페어는 언더그라운드 문화와 어느 정도 연관이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 있다가 다시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홍대 주변에서 이 전시가 진행되었을때 파급 효과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도 당연할 것이다.
어쨌든 류한길씨도 언급했듯이 우리가 홍대에서 하지 못해서 강남의, 그것도 찾아가기 힘든 논현동 주변에서 행사를 진행한 것은 아니다. 홍대 중심의 언더그라운드 문화 신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물론 그런 문제 때문에 홍대 문화 신을 적대해서 다른 곳을 육성해야 한다느니, 문화적 지평을 확장해야 한다느니 하는 관점에는 관심이 없다. 대신 우린 지금의 홍대 문화의 다양성을 확장하자는 의미가 마치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확장과 헷갈리고, 새로운 시도가 홍대 내부에서만 생산 소비되는 현실을 고민했었다. 우리는 단순히 지역적 헤게모니를 해체하자는 이야기를 하는건 아니다. 예를 들어 저번 토크에서 최소한 미디어버스는 어떤 정체성(페미니즘 진, 펑크 진)에 기반을 둔 진의 발간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느낀다고 이야기했던 적이 있다. (정연씨 미안~) 보통 100부나 많아도 150부에 한정되는 이런 소규모 출판 사업에서 독자의 충성도는 매우 중요하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진은 다양한 정체성에 기반을 두고 생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난 이러한 정체성 안에서 단순하게 반복 재생 생산되는 논의들을 미디어버스 라이브러리 안에 포함시키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다. 정말 이런 것에는 관심없다. 앞에서 이야기된 맥락과 연관해서 지금의 홍대 신이라는 지역적 정체성 역시 철저하게 홍대 안에서만 반복 재생 생산된다. 홍대는 말 그대로 카페화되고 있는데 사실 이러한 정체성이나 태도, 취향 아래에서 세밀하게 재편되고 있다는 것이 맞다.
물론 미디어버스는 보편적인 지평을, 주체를 가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최소한 나의 생각 안에서 무언가를 구획화시키는 행위는 그것이 가질 수 있는 긍정성에도 불구하고 매력적으로 들리지 않는다. 최소한의 지평은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지금과 같은 현실 안에서는 더더욱 그러할 것 같다.

뭐 나에게 홍대가 가지는 의미는 그랬다. 그렇다고 다른 장소, 이를테면 청담동이나 안국역이나 종로나 충무로를 육성하자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문화적 흐름이 파급력을 가지고 제대로 흘러가기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든 군집화되는 것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이게 지금 상황에서는 하나의 딜레마인데 저번 토크에서 재희씨가 지적했던 부분은 적절한 대안이 될 것 같기도 했다. 아주 중성적인 공간 이를테면 광화문 교보문고 같은 공간에 무심하게 놓이는 것. 난 '소비자' 주체들이 지배하는 공간 내부에서 그냥 무심하게 놓여있는 스몰 파켓 vol.2을 상상해봤다.

또한 페어의 형식 및 이 안에 포섭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생각이다. 이번 전시는 총 한달간 진행되었고 4번의 이벤트가 있었다. 이벤트의 목적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었고. 이 4번의 이벤트는 2번의 공연과 진 제작 워크샵 그리고 전시에 대한 가벼운 토크였다. 공연의 경우에는 매뉴얼의 정체성과 연관된 부분이기 때문에 사실 나는 별로 할말이 없다. 사실 진 제작 워크샵과 토크 진행을 미디어버스에서 했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진 제작 워크샵은 진이라는 매체가 가진 기본적인 속성과 잘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진행한 행사이다. 진이라는 것이 우연적이고 힘이 들어가지 않는 매체이기에 짧은 시간의 고민 안에서 하나의 생산물을 내놓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어쨌든 이 행사의 참여자 대부분이 미술 관련 종사자들이었기 때문에 그럴듯한 생산물이 나오긴 했다. 난 이 결과물 자체의 퀄리티를 따지자는 것은 아니다. 대신 이 행사를 진행하면서 진이라는 매체에 대한 일종의 오해나 그것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스스로 축소시킨 부분이 있지 않았나 하는 자괴감 같은 것이 들었다.
이것은 진이라는 매체의 대중성과 연관된다. 진은 분명히 '대중적'인 매체이다. 이것에 대한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대중성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용법과는 좀 다르다. 우리는 흔히 대중성을 다수를 만족시키는 무엇으로 규정한다. 그러나 그것이 다수를 만족시킬지 몰라도(정말 그러한가?) 전부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 (특히 나같은 놈은 더 힘들다)
무언가를 기획할때 자기 스스로를 대중적으로 위치지우려는 시도가 빠지는 함정이 그것이다. 그렇다면 문화 기획은 필요없다. 가장 대중적인 문화 기획은 경영학에 의해 이뤄지고 있고 실제로 가장 대중적인 극장은 CGV이고 가장 대중적인 카페는 스타벅스이다. 가장 대중적인 소설은 폴 오스터나 하루키에 의해 쓰여지고 있으니 당신이 굳이 새로 쓸 필요가 없다. 종이를 낭비하면서까지 말이다. 굳이 새로운 것을 보탤 필요는 없다. 그걸 다양성이라고 착각하지만 사실은 문화 공해 아닌가? 새로운 것을 제시할 능력도 없으면서 국민의 세금이나 축내는 쓰레기들이 만들어내는 쓰레기 같은 공간들. 대중적인 것에 대한 이미지가 CGV나 스타벅스, 영화로 치면 <디 워> 같은 것에 한정된다면 이 세상은 참 뭐 같을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진의 대중성은 다수를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능력과 연관된 것이었다. 그것의 시작은 개인이고. 우리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 진이라는 생각이다. 이것은 대중성의 이미지와는 상관없는 것이다. 어쨌든 이번 진 메이킹 워크샵은 나쁜 의미에서의 대중적인 것을 지향했으며 뭔가 어정쩡하게 진행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그렇다고 그 결과물과 과정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다. 어쨌든 즐거운 시간이었고, 앞으로 고민을 많이 해서 행사의 밀도를 높이고자 한다.
진 토크는 외관상 널널한 것이었지만 뭐 그냥 만족했다. 많은 것을 준비해서 스티브 잡스처럼 유려하게 진행할 수는 없었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이야기하고 개선의 여지를 넓혀나가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어쨌든 정말 긴 전시였고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하고 vol.2를 기대해주시길.. 커밍 수운~~

No comments: